영어가 어려운 이유
아마도 영어 잘 하기가 가장 어려운 언어를 사용하는 국민이라면 우리 한국과 일본인이 아닐까 추측합니다. 이유는 전혀 다른 계통의 언어이기도 하지만, 영어를 가장 렵게 하는 또 다른 중요한 이유는 아마도 ‘말의 순서’라 생각합니다.
우리나 일본인에게 영어뿐 아니라 대부분의 서양언어가 어려운 이유는 언어의 근본 구조, 특히 어순이 다르기 때문입니다.
말의 순서
우리말 어순
주어 – 목적어/보어 – 동사
영어 어순
주어 – 동사 – 목적어/보어
위의 상이한 문장구조는 영어를 조금이라도 공부했다면 알고 있는 사실일 것이며 수 없이 들어온 것들일 것입니다. 이러한 사실을 이해는 하지만, 자연스럽게 말의 서두인 주어를 꺼집어 놓은 후 조금의 주저함 없이 동사를 선택하고 그 동사에 따른 부가적인 말을 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. 이러한 순서가 본능적이고 자연스럽게 나온다면 이미 영어를 잘 하는 사람일 것입니다.
영어로 읽고 듣고 말할 때 자연스럽고 본능적으로 이러한 흐름에 따르기 위해서는 모국어가 아니기 때문에 모국어에 못잖은 정도로 많은 경험과 접촉이 필요합니다. 공부나 이해없이 학습할 수 있는 상황이 된다면 좋겠지만, 이는 현지에 있을 때 좀 더 가능할 것입니다. 따라서 한국에서 외국어로 영어를 배운다면 현지에 있는 것처럼 많은 독서나 듣기를 통해 간접 경험을 해야 하며 또한 이해(문법)가 따른다면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.
문법의 역할
즉 문법이라는 것은 영어를 잘 하기 위한 보충 학습이며, 영어를 할 때 영어적 사고(思考)로 자연스럽게 바꾸기 위한 보조수단입니다.
언어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고가 바뀔 때 언어를 제대로 할 수 있습니다.
답글 남기기